2025년 농식품바우처 대폭 축소! 지원 대상·예산 줄어들어…신청 방법은?


2025년부터 농식품바우처 제도가 크게 바뀐다. 정부는 기초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국내산 농식품 구매를 지원해왔으나, 올해부터 지원 대상과 예산이 대폭 축소된다. 특히 기존 수급자 중 상당수는 더 이상 혜택을 받지 못할 전망이다. 



농식품바우처로 농식품을 구입하는 서민
2025년은 일시적으로 농식품바우처 지원이 축소될 듯싶다



2025년 농식품바우처 축소 및 변경


참고로 농식품바우처란, 정부가 기초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과일, 채소, 계란, 육류, 잡곡, 꿀, 두부, 흰 우유, 산양유 등 국내산 농식품을 살 수 있도록 일정 금액을 지원해 주는 제도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일부 지자체에서 시범사업을 해왔는데, 올해 2025년부터는 본 사업으로 전환해 전국 시·군·구에서 시행한다.



2024년 농식품바우처 지원
농식품바우처 현황 (이미지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지난해 2024년까지는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1인가구 4만원을 지원, 4인가구 8만원을 지원했는데, 올해부터는 생계급여를 받는 기준중위소득 32% 이하의 임산부, 영유아, 초·중·고등학생이 있는 가구에게 지원하는 것으로 축소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앞서 언급했듯이 전국의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214만 가구가 대상이었는데, 올해 바우처 예산이 대폭 삭감된 이유로 대상자가 축소된 것이다. 


정부는 지난 2024년 8월, 정부예산안 발표 시 농식품바우처로 국비 381억 원을 계획했는데, 이는 계획했던 예산에서 무려 94% 줄어든 예산이다. 




기존 농식품바우처 수급자, 2025년에는 받지 못할 수 있다


정부가 발간한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책자에도 농식품바우처 대상을 생계급여수급자 중 임산부, 영유아, 초·중·고등학생이 있는 가구로 표기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에 농식품바우처를 받았지만, 2025년부터는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차후 예산이 충족되는 경우 확대·지원



농식품바우처카드
농식품바우처는 지정된 카드로 충전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차후 예산이 충족되는 경우 기존의 생계급여수급자 중 임산부, 영유아, 초·중·고등학생이 있는 가구를 포함해,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중 노인 및 장애인이 포함된 가구 등 기타 취약계층의 지원까지 확대·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관련 전문가들도 농식품바우처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농식품부 담당자도 지원 대상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으니 말이다. 


지원 금액은 한 달에 1인가구 4만원, 2인가구 6만 5,000원, 3인가구 8만 3,000원, 4인가구 10만원으로, 한 달에 이 금액 한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잔액은 최대 2,000원까지만 다음 달로 이월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달 내 바우처 금액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농식품바우처를 이용하는 사람들 중 문화누리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농식품바우처도 문화누리카드와 사용방법이 비슷하다. 그러므로 실물 카드로 바우처를 발급받은 후 온·오프라인에서 지정된 품목을 구매·결제 할 수 있다. 




2월 17일부터 농식품바우처 신청가능



농식품바우처 홈페이지
현재 농식품바우처 홈페이지는 접속불가 상태다



현재 농식품바우처 홈페이지는 오류가 발생해 접속이 불가능하지만, 2025년 1월 중으로 농식품바우처 사업시행지침이 나오고 지정 사용처가 공표된다. 참고로 2025년 농식품바우처를 오는 2월 17일부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농식품바우처 누리집 등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문화누리카드
문화누리카드로 식료품, 식재료 등 상품 구입 방법



100 age health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