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설 명절을 맞아 정부와 지자체가 물가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주요 성수품 할인과 민생안정 지원금 지급은 장바구니 부담을 덜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포스트에서는 제로페이를 활용한 효율적인 상품권 구매 방법과 지자체별 민생안정 지원금 혜택을 상세히 알아본다.
![]() |
설 명절 성수품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
설 명절 성수품 할인 및 제로페이 활용법
요즘 물가가 너무 올라 장보기도 힘든 시기다. 따라서 설을 앞두고 너무 높아진 장바구니 물가에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 |
2025년 설 명절 민생 신속지원 (클릭 시 이미지 확대) |
최근 1월 9일 기획재정부에서 발표된 설 명절 대책에서 설 명절 자금에 900억 원을 투입해 주요 성수품을 최대 50%까지 할인한다고 밝혔다. 특히 농축산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농할·수산대전 상품권은 20~30% 할인된 가격으로, 온누리 상품권의 경우 15% 할인과 1인당 최대 8만원까지 환급하는 행사도 진행한다.
![]() |
성수품 물가 안정 (클릭 시 이미지 확대) |
참고로 필자는 평소에 제로페이 결제가 가능한 ‘비플페이’ 앱에서 지역화폐나 온누리 상품권을 10~20% 할인된 가격, 즉 10만 원짜리 상품권을 8~9만 원 정도로 구입해 사용하고 있다.
제로페이는 현금이나 카드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스마트폰 하나로 바코드를 찍어 결제 가능한 것도 편리한 것은 물론, 등록된 번호로 소득공제까지 자동으로 되므로 상당히 편리하다. 꼭 전통 시장이 아니더라도 떡집, 과일가게, 정육점, 횟집, 서점, 안경점, 빵집 등 근처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로페이는 어르신들보다 대부분 젊은층이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것이 다소 아쉽다. 스마트폰만 가지고 있다면 어르신들도 쉽게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므로 이번 기회에 이용해 보는 것이 좋을 듯싶다.
제로페이로 결제 가능한 온누리 상품권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스마트폰에 비플페이 앱을 다운로드·설치 및 회원가입 후 온누리 상품권을 터치한 다음 구매하기를 터치해 구입할 상품권을 선택하면 된다.
![]() |
비플페이 앱 다운로드 |
참고로 15% 할인된, 즉 10만 원 권을 8만 5,000원에 구입할 수 있으며, 월 200만원까지 구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0만 원 정도 물건을 구입하는 경우 170만 원에 구매할 수 있다.
![]() |
제로페이 가맹점 |
이렇게 상품권 구매가 완료되면 위의 이미지 또는 바코드가 있는 매장(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30% 할인받아 구매할 수 있는 농축수산물 상품권은 공공상품권으로, 같은 방법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 |
비플페이에 가입 및 상품권 구입방법 (클릭 시 이미지 확대) |
➊ 비플페이 앱을 다운로드·설치 및 회원가입→ ➋ 구매하기→ ➌ 구입할 상품권을 선택 *농축수산물 상품권은 공공상품권으로 선택
온누리상품권과 연동되는 온라인 전통시장관 쿠폰
요즘은 온라인으로 명절을 준비하는 사람들도 꽤 많다.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도 특별한 혜택을 준비했다. 설 명절 전후인 1월부터 2월 10일까지 5%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데,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하는 경우 추가 할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카드 또는 모바일형 온누리상품권을 15%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하는 경우, 사용 후 환급 행사 참여로 최대 15% 환급받은 것은 물론, 온라인 전통시장관 5% 할인 쿠폰까지 적용받는다. 이렇게 하면 무려 최대 35%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명절 선물이나 지역 특산물 제수용품 등을 보다 저렴하게 준비할 수 있다.
e-전통시장(온누리 전통시장) 홈페이지 또는 제휴된 오픈마켓에서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으므로 미리 쿠폰을 다운로드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어쨌거나 결과적으로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해야만 이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온누리상품권 외 전통시장에서 직접 물품을 구매하도 소득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보통 신용카드 사용 시 25%의 소득공제가 적용되지만, 전통시장에서 카드 및 모바일 결제 또는 현금 영수증을 발급받으면 무려 40%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하다. 단, 전통시장 업종으로 등록된 매장에서 결제해야만하고, 현금영수증이나 카드 영수증을 반드시 발급받아야 한다.
![]() |
스마트폰 활용의 모든것, 시니어를 위한 쉽고 친절한 가이드 with 챗GPT |
2025년 설 명절 전 민생안정 지원금을 지급하는 지자체
경제 활성화와 민생안정을 위해 10만원~50만원까지 민생회복 지원금을 지급하는 지자체들이 있다. 따라서 해당 지자체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부지런히 신청해 지급 받는 것이 좋을 듯싶다.
① 전북 정읍시
전북 정읍시는 민생회복 지원금 30만원을 무기명 선불카드 형태로 지급한다. 대상은 2024년 11월 30일 기준, 정읍시에 주소를 둔 시민으로, 신청은 2025년 1월 24일까지 주소지 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참고로 신청은 출생 년도 끝자리에 따라 5부제로 신청이 가능하므로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
![]() |
전북 정읍시 민생회복지원금 (클릭 시 이미지 확대) |
② 전북 남원시
전북 남원시는 전 시민에게 1인당 30만원을 선불카드로 지급한다. 2024년 12월 31일 기준, 남원시에 주소 등록이 되어 있는 시민이 대상으로, 2025년 1월20일~2월 21일까지 주소지 주민센터에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참고로 신청은 출생 년도 끝자리에 따라 5부제로 신청이 가능하므로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
![]() |
전북 남원시 민생안정지원금 (클릭 시 이미지 확대) |
③ 전남 영광군
전남 영광군은 1인당 50만원의 민생경제회복지원금을 지급한다. 2024년 12월 27일 기준, 영광군에 주민등록 주소가 되어 있는 군민이 대상으로, 영광사랑카드로 지급하는데, 신청은 2025년 1월 13일~2월 19일까지다. 신청방법은 ‘그리고’ 앱을 다운받아 신청하거나 주소지 읍·면사무소를 직접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④ 전북 완주군
전북 완주군은 전체 국민들에게 1인당 30만원의 민생안정지원금을 지급한다. 이번 지원금은 설 명절 이전에 지역사랑상품권인 완주사랑 선불카드로 지급하는데, 사용기한은 2025년 6월까지로, 구체적인 신청일은 곧 발표한다고 밝혔다. *곧 신청일이 발표되므로 읍·면사무소를 방문하거나 전화문의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 좋을 듯싶다.
⑤ 전남 강진군
전남 강진군은 올해 상반기 내에 모든 군민에게 1인당 20만원의 지역경제회복지원금을 지급한다고 밝혔으며, 설 명절을 맞아 지역상품권 구매할인율을 10%에서 15%로 확대한다. 또한 강진 반값여행의 지속적인 추진으로, 1인 여행객 지원비 5만원을 10만원으로 확대해 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역 내 소비를 증가시키겠다고 밝혔다.
⑥ 경기도 파주시
경기도 파주시는 내수 침체로 인한 가계 부담을 덜기 위한 민생안정 특별대책의 일환으로, 시민 1인당 10만원의 파주시 민생회복 생활안정지원금을 1월 21일부터 지역화폐로 지급한다고 밝혔다.
파주시는 이번 설 명절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위해 520억 원의 추가 경정예산안을 마련해 재산이나 소득 관계없이 파주 시민 모두에게 지원금을 지급한다. 지급대상은 2024년 12월 26일 기준, 파주시에 주민등록을 둔 내국인이 지급 대상이며, 신청은 1월 21일부터 시작된다.
자세한 사항은 지역화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민생안정 지원금 지급예정 지자체
① 전북 진안군: 1인당 20만원의 민생안정 지원금 지급예정
② 전북 김제시: 1인당 50만원의 일상회복 지원금 지급예정
③ 경기 광명시: 1인당 10만원씩 민생안정 지원금 지급을 검토 중이다.